건강을 챙기는 습관

식물성 단백질 vs 동물성 단백질

health_430 2023. 3. 13. 11:55
반응형

단백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식물성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인데요. 식물성 단백질은 콩이나 곡류에 들어 있는 단백질이고 동물성 단백질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이나 우유에 들어 있는 단백질입니다.

 

단백질을 식물성과 동물성을 나누는 이유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 때문입니다. 필수 아미노산은 우리 몸에서 만들 수 없거나 만들 수 있더라도 양이 너무 적어서 반드시 음식으로 먹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합니다. 비필수 아미노산은 필요 없는 아미노산이라는 뜻이 아닌, 다른 아미노산을 재료로 우리 몸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아미노산으로 꼭 음식으로 먹지 않아도 되는 아미노산이라는 뜻입니다.

 

같은 양의 단백질일 경우 동물성 단백질에 필수 아미노산이 더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동물성이나 식물성이냐를 구분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필수 아미노산이 많다고 해서 동물성 단백질만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동물성 단백질을 먹을 때 지방도 같이 많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적절하게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장 호르몬이 많이 나오는 어린이는 필수 아미노산에 히스티딘과 아르기닌이 몸에서 만들어 내는 양보다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로 더 섭취해 주면 좋습니다.

 

*히스티딘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요한 아미노산(약20종)의 하나로 특히 헤모글로빈 중에 많다. 영유아에게는 필수 아미노산이다. 성인에게는 과거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취습되었지만, 최근에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취급하고 있다. 아르기닌, 리신과 함께 염기성 아미노산이다.

 

*아르기닌

어류의 정자에 존재하는 단백질 프로타민에 속한다. 생체 내의 대사경로로서 오르니틴 회로의 구성 성분이며, 아르지니아제의 작용에 의하여 요소와 오르니틴으로 분해된다. 아르기닌을 제거하면 식욕이 없어지고 성장속도가 느려지는데, 이것은 체내에서 합성되지만 그 양이 필요량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이나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준 필수 아미노산이다.

 

 

식물성 단백질 섭취방법

우유는 동물성 단백질이고 두유는 식물성 단백질입니다.

식물성 단백질은 두유로 간편한 섭취가 가능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매일유업의 단백질 두유를 통해 섭취하고 있습니다. 

 

매일유업 매일두유 고단백, 190ml, 24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